본문 바로가기
원신 기본 공략

초보자용 전투 시스템 이해 – 원소 반응 쉽게 정리

by navia1220 2025. 5. 12.

🧭 원소 반응, 어렵게 느껴지셨나요?

원신을 시작하고 처음 전투 시스템을 접하다 보면, 각 캐릭터가 가진 ‘원소’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. 불, 물, 번개 같은 속성은 익숙하지만, 이 원소들이 만나서 ‘반응’을 일으킬 때의 효과와 순서, 그리고 그 차이까지 이해하는 건 생각보다 복잡하게 느껴지기 마련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, 원소 반응의 기본 개념부터 각 반응의 배율, 부착 방식, 그리고 알아두면 좋은 시스템인 ICD(내부 쿨타임)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.

원소 시스템을 이해하면, 단순히 캐릭터 스펙에 의존하지 않고도 전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됩니다. 무과금 유저나 신규 유저에게 특히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.

 

🌈 원소 요약 (7대 속성)

원소대표 캐릭터주요 특징
불 🔥 향릉, 마비카 융해 ·증발 등 강력한 딜 반응
물 💧 바바라, 푸리나 치유 및 빙결, 감전 반응
얼음 ❄️ 케이아, 에스코피에 빙결·융해 반응
번개 ⚡ 피슬, 라이덴 감전·과부하 중심 반응
바위 🪨 노엘, 종려 방어 및 결정화 중심
바람 🌪️ 설탕, 벤티 원소 확산 및 전투 보조
풀 🍃 콜레이, 나히다 연소·개화·촉진 등 다양
 

 

🔥 원소 반응별 딜 배율 비교

반응 이름조합피해 타입딜 배율 (기본값)특이사항
증발 물 → 불 🔥
불 → 물 💧
증폭 반응 1.5배 (물 유도)
2.0배 (불 유도)
불로 트리거 시 피해 ↑
융해 얼음 → 불 🔥
불 → 얼음 ❄️
증폭 반응 1.5배 (얼음 유도)
2.0배 (불 유도)
증발과 반대로 불 트리거가 더 강력
감전 물 + 번개 지속 반응 기본 전기 피해 + 물 25% 확산 광역 지속 피해
과부하 불 + 번개 폭발 반응 고정 피해 (레벨/숙련도 기반) 적 넉백, 범위 피해
빙결 물 + 얼음 상태 이상 적 이동 불가 (짧은 시간) 쉴드 캐릭터와 함께 사용 시 효과적
확산 바람 + (불/물/얼음/번개) 반응 피해 원소 숙련도 기반, 범위 확산 다수 적 처리에 효과적
결정화 바위 + (불/물/얼음/번개) 보호막 생성 원소 숙련도 기반, 피해 흡수 방어력 강화 용도
연소/개화/번성 풀 + 기타 지속/폭발 반응 개화: 고정 폭발 피해
번성: 딜 2.0배
연소: 도트 피해
풀 기반 반응 (딜 효율 다양)
각종 반응에서 활용되는 물속성의 대표 캐릭터 행추

 

💡 **증폭 반응 (융해/증발)**은 트리거하는 원소가 무엇이냐에 따라 배율이 달라집니다.

💡 트리거란? 이미 부착된 원소에 후속으로 부착하여 반응을 담당하는 것입니다.


 

💥 원소 부착: 약부착 vs 강부착

원소는 공격 시 **“적에게 원소가 부착되는 정도”**에 따라 반응의 지속력이나 연속 반응 가능성에 영향을 줍니다.

구분특징예시 캐릭터/스킬
약부착 원소 부착량이 적음. 빠르게 소멸됨 바바라 기본 공격, 설탕 E
강부착 부착량이 큼. 반응 후에도 잔여 원소 남음 향릉 Q, 리사 차지 공격, 카즈하 Q

 

🕒 원소 반응의 'ICD' 개념

**ICD(Internal Cooldown, 내부 재사용 대기시간)**는 원소 반응이 연속으로 발생하는 것을 제한하는 시스템입니다.

🔍 ICD란?

  • 같은 스킬 또는 평타가 반복해서 적에게 닿더라도, 일정 시간(보통 2.5초 또는 3타) 동안 원소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제한하는 시스템입니다.
  • 이는 밸런스를 위한 시스템으로, 모든 공격이 100% 반응을 일으키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입니다.

📌 기본 규칙 (대표적인 예)

  • 대부분의 기본공격은 3타 중 1번만 원소 부착 → 반응 발생
  • ICD 간격: 보통 2.5초 또는 3타 이후에 다시 반응 가능
  • 예외 캐릭터 존재: 일부 캐릭터의 특수 스킬은 ICD 규칙을 무시하거나 짧음
캐릭터설명
피슬(오즈) 오즈 공격은 일반 ICD 적용 (3타에 1번 반응)
향릉(궁극기) 회전 불꽃에 ICD가 없어 매 타격마다 불 부착 가능
타르탈리아(근접 E) 일부 강공격에 짧은 ICD 또는 무시 효과

 

⚠️ 같은 원소를 빠르게 덧바르는 것처럼 보여도, 실제로는 ICD 때문에 반응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
💡 팁

  • 다른 원소를 번갈아 사용하면 ICD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.
    예: 불-물-불-물 식 교차 사용
  • 바람 캐릭터의 확산은 ICD와 별개로 원소 부착을 다시 유도할 수 있습니다.

📌 예시 설명

  • 약부착: 짧게 적에게 원소가 묻음 → 반응 후 원소 즉시 사라짐
  • 강부착: 반응 후에도 잔여 원소가 남아 → 연속 반응 가능

⚠️ 강부착 스킬을 먼저 쓰고, 약부착 스킬로 반응을 유도하면 → 딜 손실 없이 연속 반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.


🎯 실제 반응 예시

조합설명
향릉 Q(불 약부착) + 바바라 기본공격(물 약부착) 증발 반응 + 연속 유지
피슬 Q(번개 부착) + 타르탈리아 E(물 약부착) 감전 지속 반응 유도
케이 Q(얼음 약부착) + 향릉 E(불 약부착) 융해 연속 폭딜
나히다 E(풀 중부착) + 피슬 E(번개 약부착) 촉진 반응 많은 타수에 유리
 

✅ 정리 요약

  1. 증발, 융해 → 배율 높은 딜 반응, 트리거 원소 주의 필요
  2. 과부하, 감전, 확산 → 광역/상태 이상용
  3. 원소 부착은 ‘강부착 → 약부착’ 순서로 반응을 유도해야 효율적
  4. 원소 숙련도 스탯은 확산/결정화/개화 등에 큰 영향
  5. 캐릭터 별로 ICD(내부대기시간)가 달라 같은 원소여도 캐릭터 별로 큰 차이 발생